장례비용은 3가지로 구분됩니다. 장례식장, 상조회사, 장지(묘지)비용 입니다.
3가지 모두 들으면 아 그렇지 하지만, 3가지 중에서 장례식장, 특히 음식비용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걸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음식비용이 장례비의 30%를 차지한다구요?
과장된 표현이긴 하지만 꼭 틀린 말은 아닙니다. 쉽게 설명드리자면 결혼식과 비슷한 면이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다른 점이 있다면 결혼식은 분위기에 많은 값이 드는 것이고, 장례식은 다양한 음식에 비용이 많이 듭니다.
💡 장례식장 음식의 구성
장례식 음식은 종류가 많습니다. 국, 밥, 반찬, 수육, 떡, 과일, 안주 그리고 술과 음료까지...
결혼식과 이유는 다르지만, 음식비용이 많이 드는 이유 입니다.
어떤 식으로 주문하나요?
장례식장의 음식 주문 단위는 보통 30~50인 분 단위 입니다. 음식량 조절이 쉽지 않은데, 소량으로 기본 세팅 후 취향에 맞춰 추가 서빙하는 요령이 필요합니다.
하나 더! 비용 절약 방법
조문객 인원에 맞는 인분 주문
반찬 가지 수를 조절
남은 주류는 반납
유가족 1명이 주문 관리
유가족이 직접 도우미로 참여
💡 음식 주문 시 주의사항
음식 주문은 꼭! 유가족이 직접하세요. 도우미 분의 도움을 받더라도 유가족이 사인 후 주문을 하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사인은 여러명이 하지 마세요. 여러명이 관리하면 중복 주문으로 피곤한 일이 생깁니다. 딱 1명 만 지정하세요.
기본 세팅을 4인 분을 해 놓고, 1명의 조문객에 내놓으면 안됩니다.
안 먹을 수도 있는 음식을 넉넉한 인심이라고 생각하지 마시고, 좋아하는 음식을 파악한 다음 넉넉하게 드리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