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현충원으로 떠나자!
"펑!"
1970년, 평화롭던 서울현충원에
갑작스레 들려온 폭발음...
긴급 출동한 군 수색 병력이 살펴보니
현충문이 파손되었고,
그 근처, 아군용 전투복을 착용한 괴한이
숨을 거둔 상태였습니다.
무슨 일이었을까요?
도망친 간첩들을 붙잡고 조사해보니
6·25 전쟁 20주년(1970년 기준)을
맞아 방문한 고위 인사들을 암살할 목적으로
침투 및 시도한 범행이 드러났습니다.
70년만 해도 간첩이 만연하던 시대...
이 얘기를 기억하시는 분, 있으시죠?
국립서울현충원의 51년 전
저 또한 무척 어렸을 때였지만,
아직 그날이 생생한 충격으로 남아있습니다.
많은 국민이 분노한 천인공노할 사건...
"여기는 민족의 얼이 서린 곳
조국과 함께 영원히 가는 이들
해와 달이 이 언덕이 보호하리라"
<서울현충원 현충탑에 적힌 문구>
민족의 얼이 서려있는,
나라를 위해 헌신한 애국지사들이
영면한 곳에 '폭탄'이라니...
폭탄을 설치하던 간첩 한 명은 사망하였으나
현충문이 일부 파손되었죠.
당시에도
'넘으면 안 되는 선을 넘었다'라는
반응이 대다수였습니다.
*현충관은 도보로 꽤나 걸어야하니, 차로 이동하시기를 추천해 드립니다.*
그럼에도 서울현충원은 아직까지 건재합니다.
저의 학창 시절에도,
대학생 시절에도,
아이들이 아주 어렸을 때도,
서울현충원과 항상 함께하기도 했고요!
서울현충원은 누구나 들어갈 수 있지만
아무나 안장될 수 없는 곳.
하지만 저는 '누구나'를 강조하고 싶습니다.
서울현충원은 엄숙해야 하는 곳이 맞습니다.
하지만 무거운 발걸음으로만
가야 하는 곳은 아닙니다.
저도 서울현충원은 분기마다
아이들과 꼭 한번 들리는 곳인데,
그 이유는,
아름답기 때문입니다.
서울현충원은 숨겨진 벚꽃 명소로,
노란 개나리와 수양벚꽃, 진달래꽃이
조화롭게 어우러져있습니다.
또한 제가 꼭 들리는 곳이 있는데요.
바로 '유품전시관'입니다.
독립운동가실은
피 묻은 태극기, 독립군 복장과 같은
서울현충원에서만 볼 수 있는
유품들이 있어 누구나 데려가도
반응이 좋은 곳입니다.
묘역을 천천히 걸으며
나라를 위해 몸 바친 호국영령들을 바라보며,
지금 내가 하는 고민들은 고작 사사로운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정말 사랑하는 곳을 소개해 드려서
이번 포스팅은 정말 의미 있는 포스팅이
아니었나 싶습니다.
서울현충원에 꼭 묵념을 위한 목적보다는,
가벼운 발걸음으로 한 번쯤은 다녀오시길
꼭 권해드립니다.
보훈상조가 더 궁금한 여러분들을 위해
▶ 장례식 절차 0번, 사람들이 많이 놓친다는 것은?
▶ 상조 가입 상담은 받고 싶은데.. 어떤 걸 물어봐야 하나요?
▶ 장례지도사의 업무가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