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공자칼럼
2020. 8. 12.
전문가가 말하는 국가유공자 장례 (8)
[dt_tooltip title="TITLE"][/dt_tooltip]
Q.국립묘지에 아버지의 위패봉안이 있습니다.
이곳에 어머니의 유골 합장을 하려고 하는데 가능한가요?
위패봉안이라 함은
'유골이나 시신이 없어서 매장 또는 안치되지 못한 사망자와
매장 또는 안치 기간이 경과한 사람의 이름 등을 석판 등에 기록하여 보존하는 일'이라는 뜻이다.
즉, 유골함이나 시신이 없다는 개념이다. 위패의 내용에는 석판에 계급, 성명 등이 기록되어있다.
위패 얘기를 하니, 생각하는 사연이 있다.
제주 4·3 사건에서 살아남은 한 남자의 이야기다. 당시 A씨는 9살이었다.
군인들이 밀려와 자신의 가족이 눈 앞에서 총살 당하는 현장을 눈 앞에서 보고말았다.
그는 도망쳐야만 했고, 눈에 보이는 아무 배나 골라 타 목포에 도착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는 60년이 넘은 후에야 제주에 올 수 있었다.
그가 마주한 건 제주 4·3 평화공원에 적힌 자신의 가족 위패와, 자신의 이름이었다.
아무도 9살의 소년이 살아남아 있을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기 때문에 위패에 함께 적은 것이었다.
이 얘기를 듣고 누가 울지 않을 수 있을까.
이처럼 위패는 시신을 찾을 수 없을 때 고인을 기리게 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위의 질문은 고인이 현재 위패봉안으로 국립묘지에 있는 상태이고,
배우자와 합장할 경우 배우자는 위패봉안이 아닌 유골함으로 안장이 가능하냐는 내용이다.
정답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이다. 정리된 표는 다음과 같다.
[caption id="attachment_6603" align="alignnone" width="966"]
2020.05.20 기준[/caption]
보이는 것처럼 대다수의 호국원이 별도의 위패봉안시설이 없는 상태이다.
하지만 대전현충원 및 이천호국원의 경우에는 봉안당 조성시기가 2021년으로 예정되어 있어,
봉안당 개원이 되면 유골함과 봉안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위패봉안이 가능한 국립묘지에는 질문처럼
국가유공자의 위패봉안이 돼있을 때, 배우자의 유골은 모실 수 있다.
반대로 국가유공자만 유골이 있고 배우자가 유골이 없는 경우에는 배우자의 위패봉안은 불가능하다.
이상으로 위패봉안과 유골함의 합장에 대해 알아보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지역별로 유골 합장 여부가 나뉘기 때문에
안장된 국립묘지의 상황을 잘 살피는 것이 최선일 것이다.
국가유공자 전문가 최명화의 또 다른 칼럼이 궁금하다면? → 뒤늦은 국가유공자 인정.. 장례비 지원이 되나요? → 무빈소 장례, 조의금은 어떻게 주나요? → 국가유공자면 무조건 받을 수 있는 혜택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