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소식
2022. 9. 7.
2022년 추석맞이 차례상 차리는 방법
안녕하세요,
추석에도 변함없이 함께하는 보훈상조입니다.
집집마다 다른 추석 차례 음식에
차례상을 어떻게 차려야 할지,
지역마다 어떻게 다른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혹시 지금 차례상 차리는 방법을
알아보고 계신가요?
그래서 2022년 추석을 맞이해
보훈상조에서 차례상 차리는 방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함께 가보시죠!
차례의 의미
차례란 '제사'의 한 종류로
명절에 지내는 제사를 말합니다.
조상님이 돌아가신 날 저녁에 지내는 '기제사'와 달리
명절날 오전에 지낸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차례상 기본 차림 소개
위 이미지는 저희 보훈상조에서
간략하게 설명해 드리기 위해 제작했습니다.
아래에서 열별로 상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꼭 참고해 주세요!
1열 : 반서갱동
밥은 서쪽, 국은 동쪽이라는 뜻으로
산사람과 반대로 놓는 것을 말합니다.
송편은 좌, 술잔은 우측에 위치합니다.
시접은 수저와 대접을 뜻하는 단어로
단위제일 경우 좌측, 양위합제는 중앙에 위치합니다.
제사상 크기에 따라 송편은 2열에 올라가도 됩니다.
2열 : 어동육서
생선은 동쪽, 육류는 서쪽이라는 의미입니다.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으로 위치합니다. (두동미서)
국수나 떡을 올리는 경우에는
국수는 좌, 떡은 우측에 위치합니다. (좌면우병)
3적 (육전, 소적, 어적)을 기본으로 두는데,
여기서 소적은 두부전을 의미합니다.
두부나 채소를 꼬챙이에 꿰어 구운 음식을
뜻하기도 합니다.
이름이 치로 끝나는 꽁치, 멸치 등의 생선은
제사상에 놓지 않습니다.
3열 : 탕
육탕(육류), 소탕(두부나 채소), 어탕(어패류)
3종류의 탕이 기본적으로 올립니다.
최근에는 탕을 1종류로 줄이고,
생전에 좋아하셨던 음식을 함께 두기도 합니다.
4열 : 좌포우혜, 생동숙서
좌포우혜 : 포는 좌, 식혜는 우측 맨 끝에 위치합니다.
생동숙서 : 익힌 것은 좌, 날것은 우측에 위치합니다.
삼색 나물을 좌, 김치, 동치미를 우측에 위치합니다.
포는 2열과 마찬가지로 두동미서로 위치합니다.
제사상에는 귀신을 쫓는다하여 마늘이나 고추 등
냄새가 강하거나, 매운 양념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김치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생략합니다.
5열 : 홍동백서, 조율이시
과일과 과자류를 올리는 열입니다.
홍동백서 :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놓습니다.
조율이시 : 각각 대추, 밤, 배, 감을 뜻합니다.
왼쪽부터 조율이시 또는 조율시이로 올립니다.
다 올린 후, 나머지 이외의 과일을 나무 과일,
넝쿨 과일 순으로 올립니다.
마지막으로 한과, 유과, 약과를 올립니다.
복숭아는 귀신을 쫓는다하여 올리지 않습니다.
지역별 차례상 음식 차이
차례상은 지역별로도 차이가 있습니다.
생각지도 못한 음식이 올라가기도 하고,
같은 음식이지만 만드는 법이나
들어가는 재료를 달리 하기도 합니다.
어떤 음식들이 있을까요?
경기도
다른 지역에 비해 생선이 많이 올라가지 않습니다.
하지만 굴비와 조기는 필수로 올립니다.
다산을 상징하는 북어도 많이 올라갑니다.
녹두를 갈아만든 녹두전도 함께 올리기도 합니다.
강원도
강원도에서 많이 나는 나물, 감자, 고구마를 이용한
음식을 많이 이용합니다.
소적으로 송이버섯을 구워 올리기도 하고,
명태, 가자미를 쪄서 올리거나, 살짝 데친 문어를
함께 올리기도 합니다.
충청도
다른 지역과 많이 밀접해 있는 충청도는
밀접한 지역별로도 차이를 보입니다.
경북에 인접한 곳은 건어물이 많이 올라가고,
전북 인접 지역은 홍어, 가자미, 병어.
충청도 내륙 지역은 전과 부침류가 특히 많습니다.
지역 전체로는 피문어를 많이 올립니다.
전라도
전라도하면 홍어를 많이 떠올리시죠?
차례상에도 홍어로 만든 음식이 빠지지 않는답니다.
그리고 갯벌이 많은 서해안에 인접해서
꼬막과 같은 어패류도 많이 올립니다.
경상북도
내륙 지역이 많은 만큼 닭고기, 쇠고기를 이용한
전류, 산적류를 많이 올립니다.
대구는 돔배기(상어고기) 적을,
안동은 문어와 안동식혜를 올리는 특징이 있습니다.
경상남도
바다와 많이 인접한 지역이기 때문에
다양한 생선류와 어패류가 많이 올라갑니다.
제주도
특이하게요즈음에는 카스테라가 많이 올라갑니다.
그리고 제주 특산품인 옥돔과 감귤도 올립니다.
제주도가 섬지역인 만큼 지역 특산품을 많이
이용하기도 하고, 또 최근에는 카스테라같은